글
간혹 사람들에게 아마추어와 프로 라는 것에 대해서 얘기할 때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아마추어와 프로라는 것은 물론 천문학에 대한 것이다.
흔히들 초, 중, 고등학교때 행성들의 사진이나 성단, 성운, 혹은 은하들의 사진을 보고서 멋있다는 생각을 한다고들 한다(한다고들 한다고 쓴 건 나 자신은 전~~혀 관심이 없었었다는 얘기도 됨..-_-;;). 좀 더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라면 작은 굴절 망원경이나 쌍안경 등을 구입해서 메시에 목록이라 알려져 있는 은하나 성단 등을 찾아보기도 할 것이구... 무작정 밤하늘의 별을 보는 것이 좋아서 천문학을 하겠다고 꿈꾸는 사람들도 많은것 같다.
그렇게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는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정말 프로가 되기 위해서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다. 천문학과에 들어온 모든 학생이 그런건 아니지만 최소한 한 학년에 둘 셋 이상은 된다. 보통은 학창 시절에 활동하던 그런 생각들과 어느정도의 막연한 동경을 가지고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학과에 들어오면 별자리 등을 더 잘 알수도 있을테고, 더 많이 밤하늘을 보게 될 거라는 생각들을 가지고..
물론 밤하늘을 다른 사람들보다는 많이 본다. 천체의 운행이나 현상에 관심을 더 많이 가지게 된다. 여기저기서 듣는 얘기들은 많아서 일반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것들에 대해서 답변을 할 정도는 된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모든 기초과학이 그렇듯 사실이라고 알려져 있는 것들은 수학적으로 검증되고 확인된 것들이다. 이 말은 수학이 도구가 되어야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로그의 경우 천문학자들이 계산하는 수들의 값들이 커서 이 값들을 계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였던 뉴턴은 미분을 발견했다.
물리 역시 중요하다.
천문학과에서 배우는 과목들을 보면 물리학과에서 배우는 대부분의 물리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역학, 양자역학, 일반, 특수 상대성이론, 열및 통계물리, 천체물리 등등... 거의 모든 것에 물리가 들어가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 한가지는 컴퓨터 능력이다.
실제 연구하는 현장에서 영화 컨택트처럼 전파를 귀로 듣는다거나, 커다란 망원경 뒤에서 눈을 대고 대상을 관측하는 일은 거의 없다. 이러한 일들은 모두 컴퓨터로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 이렇게 관측된 자료들을 얻어내고 분석하는 능력들이 필요하고 그렇게 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배워야 한다.
이러한 실상을 모르고, 막연히 동경을 가지고 들어온 학생들은 생각지도 못했던 수학, 물리, 컴퓨터 언어 등에 치이면서 갈등을 많이 느낀다. 이런것들은 생각치도 않았는데, 이런게 별 보는데 무슨 소용이 있는지, 이것들을 하지 않고 천문학자가 될수는 없는건지 등등... 이 때 과연 자신이 이 길을 계속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많이 가진다.
그 의문에 대해서 많은 경우 포기하고 다른 길을 찾아가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그런 경우를 선배나 동기, 혹은 후배들에게서 많이 봐 왔다. 하지만 이러한 혼란을 이겨내고 계속 공부하는 사람들도 많이 봐 왔구. 이러한 과정들을 거쳐야 한 사람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프로가 된다. 내 경우는 전혀 관심도 없었던 분야였는데 들어와서 접하다 보니 재미있어서 전공을 하게 된 경우이다. 지금은 이것밖에 할줄 아는게 없으니까 하는 것이기도 하구..^^
아마추어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 천문학은 일상 생활과는 동떨어진 학문 이라는 인식이 강하고(나 역시 그렇게 생각함. -_-;;) 별로 관심을 두지 않는다. 천문학으로 사는 사람들은 어렵고 복잡한 것들을 일반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설명할 능력이 없다. 일반 사람들에게 천문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게 하는건 아마추어가 프로보다 훨씬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천문학을 전공하면서도 별자리를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그리고 점성술과 연관시키는 사람도 많은데 점성술은 교수님들도 모른다..^^
자주보는 만화책에서 이런 말이 나온다.
"남들과 똑같이 배우는 것을 노력이라고 말하지 마라, 좋아하는걸로 먹고살 수 있는 특권이 주어진 과제만으로 쉽게 얻어질 수 있다고는 생각지 마라"
이 말이 정답인듯 싶다.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