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처음에 영상을 보고, 왜 위아래가 뒤집혔지? 라고 생각했는데,

설명을 해 놓은 글에 보니 뒤집어서 나온게 맞다는 말이 나온다.

좌우 방향은 모르겠으나, 위아래가 뒤집힌 건 확실함..


위를 지나가는 두 개의 위성은 갈릴레오 4대 위성 이라고 불리는 것들이며,

그 중에서 가니메데와 이오 라고 한다.

내가 기억하기로는 가니메데는 목성이 가지고 있는 큰 위성이라고 알고 있음.

이오의 경우, 목성의 중력에 의해서 내부구조가 영향을 받아서 화산활동을 하는 위성이며

이오에서 뿜어져 나오는 화산가스가 목성과 우주공간으로 뿜어지고 있는 중..


목성이 거의 8시간에 한번씩 도니까, 위성이 목성면을 다 지나가기도 전에 빨리 돌고 있었을듯..

목성 하면 떠오르는 것이 인간이 보냈던 갈릴레오 위성이 생각나고,

실제 목성의 대기권에 부착된 관측기기를 떨어뜨리기도 했고, 마지막으로 목성으로 충돌하면서 사라졌다.

또 생각나는건, 김용하 교수님..교수님이 관심을 가지셨던 걸로 기억함..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이며, 가시광에는 보이지 않는 먼지로 된 고리를 가지고 있는 행성.

태양계 바깥쪽에서 들어오는 혜성이라든가, 소행성 같은 것들을 대부분 걸러주는 것도 목성이 하는 일 중의 하나..

질량이 현재보다 10배 이상 컸었다면 아마 우리는 하늘에 태양이 두 개가 존재하는 곳에 살고 있었을지도..

현재는 목성의 위성 이유로파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생각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곳..


지상망원경으로는 이정도로 찍기 힘들거 같은데..아주 큰 망원경을 쓰거나, 우주에서 찍거나 했을거 같은데

사진에는 설명이 없으니..



by BSang 2013. 2. 16. 12:21



2월 4일에 호주의 천문대에서 관측한 영상..

현재는 아주 어두워서 망원경으로 관측해야 보이는 정도의 밝기를 가지고 있고, 3월말 정도가 되면 3등급 정도까지 밝아진다고 한다.

등급만 따지면 눈으로도 관측이 가능하겠지만 혜성의 특성상 뿌연 구름처럼 보이므로 글쎄..

연속적으로 같은 자리를 찍어서 합성해서 별의 궤적이 대각선 방향으로 보이고 있음..

꼬리가 갈라져 있는 것이 보이는데, 현재의 궤도에선 태양쪽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두 꼬리가 크게 벌어지지 않은듯 싶다.

이온화된 탄소 때문에 녹색으로 보인다고 함..


올해중에 혜성이 두개 정도가 더 온다고 하는데

PANSTARRS 라는 이름을 가진 혜성과, ISON 이라는 이름을 가진 혜성이다.

이 중에서 ISON 이라는 혜성은 올해 11월 중순에서 12월 초순 경에 가장 잘 보인다고 하는데

밝기가 -11등급까지, 즉 보름달 밝기의 15배 정도까지 밝아진다고 함..


전통적으로 혜성의 경우, 관측자의 이름이 붙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 두 혜성의 경우, 관측한 망원경 혹은 관측한 그룹의 이름이 붙은 것이 특징..

예전에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나 일반사람들도 관측을 많이 했지만

점점 일반 관측자가 혜성을 발견하기는 어려워지는것 같다.

이 혜성의 이름 역시 미국의 레몬산 천문대에서 관측되었기 때문에 레몬 혜성이라 이름이 붙었다.

레몬산은 천문연구원과도 관련이 있는 곳이다. 현재도 그곳의 망원경으로 원격 관측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일반사람들에게 가장 잘 알려져 있는 혜성은 혤리혜성일듯..

초등학교때 혜성이 온다고 하는 얘기는 들었지만 직접 본 적은 없었다.

혤리혜성은 뉴턴의 친구 혤리가 역개 기록을 바탕으로 혜성이 나타난다고 예언했는데 혤리 본인은 보지 못하고 죽었고, 그가 죽은후에 예측했던 시기에 나타나서 알려지게 된 혜성..

76년 정도 후에 오는걸로 알려져 있는데, 2060년 경이라는데 그때까지 살아있으려나? ㅎㅎ


그 외에 슈메이커-레비 혜성..

이건 93년 경에 목성으로 떨어지면서 여러 조각으로 갈라지면서 목성과 충돌했었던 혜성이었고,

속설에는 이 사건으로 인해서 보현산 천문대 건설이 탄력을 받았다는 말도 있다.

슈메이커는 부부 관측자인데, 예전에 교통사고로 돌아가셨다고 들었음..

그 유골을 달 탐사 위성에 실어서 위성이 달과 충돌할때 유골을 달에 뿌렸다고 한다.


그 외에 내가 직접 눈으로 봤었던 90년대 말에 나타났었던 햐쿠다케 혜성과 헤일밥 혜성..

레몬 혜성이 헤일밥 혜성보다 더 밝게 보일까? 기대가 된다.

by BSang 2013. 2. 9. 00:17



출처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출처에 달린 글을 보면 작년 11월에 Point Lake라는 곳에서 찍은 영상이라고 한다.

이 영상은 파노라마 영상의 일부를 보여주는 것인데, 원본영상은 너무 커서 올리지 못함..

모자이크 형태로 찍어서 합성한 형태임..



이 영상을 찍은 로봇의 이름은 Curiosity.

우리말로 번역하면 호기심 정도 될 거 같은데..

상당히 큰 크기의 관측기기임..

이건 이 로봇의 카메라를 사용해서 찍은 셀카이미지..





이건 그 전에 보낸 로버들과 같이 찍어놓은 영상 (http://mars.jpl.nasa.gov/msl/multimedia/images/?ImageID=3793)


왼쪽 아래쪽의 사진에 있는 작은 로봇은 1997년에 보냈던 소저너 라는 로봇..

패스파인더 라는 로봇과 같이 화성 표면에 착륙했었음. 대략 10킬로 정도의 무게..

왼쪽에 보이는 로봇은 2004년에 화성에 내렸던 스피릿(오퍼튜니티)..무게는 180킬로그램정도..

오른쪽이 큐리오시티..크기도 상당히 커졌고, 무게가 거의 900킬로그램 정도 된다고 한다.

크기와 무게가 커진만큼 그만큼 정밀한 기기들이 실려있겠지..


크기와 무게가 달라져서 그런지, 착륙하는 방식도 패스파인더때와 비교하면 완전히 달라졌다.

패스파인더가 착륙할때는 화성의 대기권에 들어서서 어느정도 높이가 됐을때

패스파인더의 바깥쪽에 붙어있는 풍선들이 부풀어 올라서 패스파인더 전체를 덮은 후, 떨어지는 충격을 완화했고

어느정도 구르고 멈춘 후에 펼쳐서 소저너가 나와서 활동한 반면에,


큐리오시티의 경우에는 대기권에 들어가서 어느정도 높이에서 낙하산을 펼치며 속도를 줄이고

거기에 여러개의 추력로켓을 사용해서 속도를 더 줄여준 후

착륙직전에 연결된 선을 끊어서 안전하게 목적한 위치에 내려놓았다.

패스파인더 때는 착륙 그 자체에 중점을 두었다면 큐리오시티는 정확한 위치까지 고려했다는 얘기..



많은 조사들로 화성에서 물이 흘렀다는 얘기들이 많이 나왔으나

큐리오시티는 물이 있었다는 명확한 증거들을 여러개 발견했다고 한다.

그 중 하나의 결정적 사진..



예전에 액체로 된 물이 흘렀다는 증거..

아마도 이 바위는 개울의 가장자리쪽에서 생선된걸로 보인다. 저 바위들은 작은 동글동글한 조약돌로 이루어져 있다고 함..


물론 화성의 남, 북극에는 얼음 상태의 물이 존재하지만, 현재의 과학자들은 땅속에도 얼어있는 물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실제로 스피릿을 통해서 바퀴자국 아래쪽에서 얼어있는 물을 발견하기도 했다.


예전에는 액체 상태의 물이 있었으니 생명체가 있었을꺼라고 추측하고 있고, 그 증거를 발견하게 되면

세상을 뒤흔들 뉴스가 되겠지..

by BSang 2013. 2. 5. 23:06



출처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2013.2.2)




적외선으로 본 안드로메다 은하..

일반적으로 가시광으로 보는 영상이 흔히들 익숙한데, 이 영상은 특이하게 적외선으로 찍은 영상이라고 한다.

찾아보니 허셜 망원경에서 찍은 거라고 하는데, 이 망원경이 관측하는 파장이 적외선이라고 한다.

적외선에서 밀리미터파까지 관측한다고 한다.

또한 망원경의 주경의 직경이 3.5미터..

적외선이 지상에서도 관측이 되긴 하지만, 대기때문에 일부분은 관측하기가 힘든상황에서, 

우주에서 대기의 영향 없이 큰 망원경으로 관측한다는게 장점일듯..


물론 실제 데이터에 인위적으로 색을 입혀서 만든 영상..

우리에게서 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우리에게서 가장 가까운 은하중의 하나이고, M31로도 불린다.

요즘은 개념을 여기에다가 보낸다는 말로 더 많이 쓰이고 있는 천체..-_-;;

이 은하의 직경이 약 20만 광년..

이 영상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들은 성간먼지에서 나오는 빛에 의해서 보이는 것이고

푸른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은 중심부의 별에 의해서 뜨거워진 먼지들이 내는 빛임..또한 이 곳은 어린 별들이 태어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 야간에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관측해보면, 그냥 뿌옇게 먼지가 퍼져있는것처럼 보임..

우리가 흔히 보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영상은 사진으로 찍으니까 그렇게 보이는것이라는것..

처음에 이쪽분야를 공부했을때, 행성들과 더불어 가장 괴리감이 느껴지는 천체 중의 하나였었다 -_-;;


허셜은 원래 궁정음악가였는데, 여동생의 도움으로 천문학을 공부한 사람이고,

나중에 천왕성을 발견하면서 유명해진다. 그 당시 가장 큰 망원경을 만들어서 우리은하를 관측해서 최초로 모양을 추정한 사람이기도 하구..또한 적외선 천문학을 처음으로 시작한 사람이기도 하다.

여동생인 캐롤라인 허셜 역시 여성 천문학자였음..




이건 흔히 보는 가시광으로 본 M31..



 


by BSang 2013. 2. 2. 19:35



출처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January 29)


마치 영화 ET에서 달 위에 나는 자전거가 생각나는 영상..

글을 읽어보니, 2013년 1월 28일에 뉴질랜드에서 촬영한 영상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서 있는 곳에서 2킬로 정도 떨어진 곳에서 고배율의 렌즈를 사용해서 찍었다고 함..


영화속에서 달이 크게 나오고 대상이 그 위에 작게 보이는 영상들을 보면서

저건 합성이다 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런 식으로 실제로 찍을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영상..

영상을 보면 달의 가장자리에서 일렁이는걸 볼 수가 있다. 

지구 대기에 의해서 그렇게 보이는 것임..

하긴 영화 등에서 보이는 영상들에서는 대기에 의한 시상효과가 없으니 합성이 맞긴 하겠군..


캐논 Mark IV 카메라에 500밀리 렌즈, 그리고 2배 확대를 한 거라는데 실제 보여지는 영상은 1300밀리 렌즈를 써서 얻은 것과 같은 정도라고 한다.

처음 카메라에 동영상 기능이 나올때 캐논 카메라로 얻은 동영상의 퀄러티를 보고 놀랬었었는데, 이 영상에서도 발군의 성능을 보여주는듯..


by BSang 2013. 1. 30. 18:06


출처 : http://www.googlelunarxprize.org/


Astronomy Photo of the Day 영상을 보다가, 

차세대로 달에 보낼 나라를 언급을 하는 부분이 있어서 보다보니, 구글이 보낸다는 얘기가 있어서 무슨 얘기인지 찾아봤다.


대략적인 얘기로는 구글이 상금을 걸고, 달에 로봇을 보낼 팀을 찾고 있다는 얘기였다.

웹페이지에서 확인해보니, 참가지원은 2010년에 완료되었고, 현재 25개팀이 달에 로봇을 보내기 위해서 경쟁을 하고 있다고 한다. 지원하는 팀이은 회사나 기관의 돈을 지원받아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비로 충당을 해서 만들어야 한다고 되어있다.

달에 로봇을 보내는 마감시기는 2015년이고 그 이후에 시상을 할 거라고 한다.

또 조건중의 하나가, 로봇이 달에서 최소한 500미터는 움직여야하고, 데이터를 얻어서 지구로 보내야 한다고 한다.

걸려있는 상금이 3천만달러...우리돈으로 따지면 약 300억이 넘는 돈..-_-;;


위 영상은 공식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영상인데, 이 영상외에도 여러 영상들이 올라와있다.

해마다 영상이 올라와있는걸 보니, 각각의 팀들의 진행상황을 보여주는 영상으로 보인다. 

확실히 해가 가면서 로봇들의 모양이나 움직임 등이 좋아지는게 확인된다.


구글..

지구 맵부터 시작해서 달, 화성, 별자리 지도까지 만들어서 제공하고 있는 회사...

정말 대단한 회사인듯...



by BSang 2013. 1. 29. 23:18



출처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January 29, 2013


1972년에 두 명의 우주인이 찍어온 비디오를 디지털화 해서 올라온 영상이라고 한다.

달에서 찍은 것이니 움직여도 소리가 나지 않고, 영상에서 보면 꽤 빨리 달리는거 같은데, 시속 10킬로 정도라고 함..

영상의 첫번째 절반 정도는 달에 서 있는 우주인이 찍었고, 나머지 절반은 Lunar Rover에서 근접으로 찍었음..


이때 이후에 갔던 아폴로 우주인들도 이 월면차를 사용했다고 한다.


전에 해외토픽에서 들을때는 달에 처음으로 착륙했을때의 테이프를 잃어버렸다고 했던가, 테이프를 덮어쓰기해서 지워졌다고 했던가 하는 뉴스를 봤는데 정말 그런일은 없기를..


천문학을 배운 사람이라면 달에 사람이 간 적이 없다는 음모론을 믿는 사람은 없을듯..




by BSang 2013. 1. 29. 22:56



이건 빅베어에서 얻은 데이터에 색깔을 입혀서 만든 사진..

현재 천문연구원 우주환경감시실에 배경으로 사용하고 있는 사진 중 하나..

2000년 7월 경의 모습임..




페이스북에서 발견한 사진..

천문학자에 대해서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인식과 실제 하는 일의 차이에 대한 그림..

격하게 공감하는 사람들이 많았음..ㅎㅎ





역시 출처는 페이스북..

해마다 특정 기간에 떨어지는 유성우가 있는데, 8월 초에 떨어진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찍은 사진..

7시간 가량 찍은걸 합성했다고..





역시 출처는 페이스북..

처음에 봤을 때는, 집의 굴뚝에서 나온 연기를 은하수로 삼았다는 생각에 상당히 기발하다 라고 생각했다.

어떤 사람은 별을 만들어내는 별 공장이 아니냐고 하는 사람도 있던데..

사진을 찍은 구도나 생각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음..

조금 알아보다보니, 해당 건물은 일반 집이 아니라 뉴질랜드의 Takapo 라는 곳에 있는 교회 라고 함..

정말 잘 찍은 사진이라고 생각함..





이것 역시 페이스북에서 퍼 온 사진이고,

아프리카에 있는 바오밥나무와 은하수를 같이 찍은 사진이라고 함..

바오밥나무가 어린왕자에 나오는 나무인걸로 알고 있는데..사실 어린왕자를 읽어보지 않아서 내용은 잘 모른다.

어쨌든..멋있는 사진 중의 하나..



예전엔 저렇게 찍었나보다 라고만 생각했던 것들인데, 지금은 잘 찍었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슬슬 사진을 찍을 시기가 된 건가? ㅎㅎ


블로그에 올렸으니, 받아놓은 사진은 지워야겠다. ㅎ

by BSang 2012. 9. 27. 13:36


You need a more recent version of Adobe Flash Player.

우주의 크기..

언어를 선택하고서 나오는 화면에서 그림을 누르거나, 아래쪽 슬라이드바를 왼쪽-오른쪽으로 움직이면 가능..


출처 : http://htwins.net/scale2/lang.html




by BSang 2012. 9. 27. 13:05


전갈자리와 궁수자리, 그리고 보이는 은하수..

우리 은하의 중심부..



뿌옇게 보이는 것이 은하수..



별의 궤적과 산, 그리고 타고 간 차와, 지나가는 차의 불빛의 궤적..


은하수의 모습..



Photo by Donguk Song



Old Woman Springs Road(247번 도로) 어딘가에서 찍은 사진..

근처가 사막이고 시야가 확 트여서 별을 보기에 괜찮은 곳..

금요일 저녁을 먹고서 사막에 내려가서 별을 보자고 해서 따라나선 곳..


차가 간간히 다니는 곳이고 전봇대의 전깃줄이 있어서 아주 좋은 장소는 아니었지만,

아이들과 여자분들까지 모두 보기에는 좋았던 곳..


정말 오랫만에 은하수를 봤다.

그 은하수를 온 하늘을 가로질러 가는 모습은 처음 본 듯 싶다.

우리나라에선 그렇게 시야가 트인 곳이 없으니..


불행히도 난 똑딱이만 가져가서 내 카메라로 찍는건 한계가 있었음..ㅠㅠ

대신 동욱이나 최성환 선생님께 약간의 조언은 해줄 수 있었다.


밤하늘에서 확인한 별자리만 해도

전갈, 궁수, 목동, 큰곰, 작은곰, 용, 카시오페아, 백조, 거문고, 독수리, 돌고래, 페가수스, 안드로메다, 처녀자리, 왕관자리 등등..

옛날에 찾아보고 했던 별자리들이 생각이 나서 찾아보기도 하고 사람들에게 알려줄 수 있었다.

돛자리가 있었으면 누워서 봤으면 딱이었을텐데..


언제 또 이렇게 별을 볼 수 있을까나..

by BSang 2012. 7. 26. 09:23
| 1 2 3 |